(주)경희테크
회사소개 제품안내 온라인문의 제품동영상 고객센터
고객센터
  공지사항
  자료실
 
 
 
 
  HOME  >  고객센터  >  공지사항
공지사항
 
중 태양광 기업들, 미·유럽 견제 피해 중동으로 ‘엑소더스’
 글쓴이 : 행복이
조회 : 546  
중국 태양광 설비 생산업체들이 미국과 유럽의 견제를 피해 중동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20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진코 솔라와 TCL중환은 지난달 사우디아라비아에 30억달러 이상 규모의 합작 투자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각각 태양광 모듈과 실리콘 웨이퍼의 세계 최대 생산업체이다. 태양광 패널 소재를 만드는 GCL테크놀로지는 지난 6월, 트리나 솔라는 지난해 아랍에미리트연합(UAE)에서 태양광 모듈, 실리콘 웨이퍼 등을 생산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중국 태양광 업체의 중동 진출은 양측에 모두 이익이 된다고 평가받는다. 중동에서는 탈석유 시대 경제 다각화 전략의 일환으로 에너지 전환이 한창 진행 중이다. UAE, 오만, 사우디, 바레인, 쿠웨이트 등은 모두 넷제로(탄소중립) 목표를 발표했다. 에너지 컨설팅업체 라이스타드 에너지는 중동의 태양광 발전 비중이 지난해 2%에서 금세기 중반엔 50%로 올라갈 것이라고 인스타 팔로워 구매 보고 있다. 이들 국가는 대체 에너지원으로 태양광을 주목하고 있다.
중국 기업들은 중동 시장 개척을 통해 과잉생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세계 태양광 패널의 70~80%를 공급하는 중국의 과잉생산으로 지난해 말 기준 전 세계 태양광 설비 생산 용량은 수요량의 2배에 가까워졌다. 미국, 유럽 기업들이 도산하고 있으며, 미국은 지난 3월 중국산 태양광 패널 등에 대한 관세 인상 계획을 발표했다.
중동 진출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중동의 숙련노동자 부족과 지정학적 불안, 증산 경쟁에 따른 과잉생산, 커지는 중국산 제품 비중에 대한 반발 등이다. 하지만 중동 진출은 태양광 시장에 ‘잠깐의 숨통’은 틔울 수 있을 것이라고 SCMP는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