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센터 |
|
|
|
 |
|
 |
|
|
|
|
HOME > 고객센터 > 공지사항 |
 |
공지사항 |
|
|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한동훈 “새로운 정치 한다지 않았나”…전현희 “권한 없는 당대표 감추려 쇼”
|
|
글쓴이 :
행복이
 조회 : 383
|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 오는 25일 한동훈·이재명 대표의 회담을 앞두고 진행하려던 실무 협상이 21일 이틀째 불발됐다. 한 대표 측이 제안한 회담 생중계를 두고 양당이 갈등을 빚은 여파로 해석된다. 구체적 회담 방식과 의제를 다룰 협상은 지연되고 이날도 생중계 관련 공방만 벌어졌다. 박정하 국민의힘 당대표 비서실장은 이날 기자들에게 오늘 시간이 안 맞는다며 양당 대표 비서실장 간 진행하려던 실무 협상이 열리지 않는다고 밝혔다. 한 대표 측이 언론을 통해 회담 생중계 제안을 발표하면서 촉발된 갈등이 확산하며 전날에 이어 이날도 협상을 시작하지 못한 것이다. 생중계 여부를 둘러싼 설전은 이날도 계속됐다. 한 대표는 민주당도 새로운 민주당이라고 새로운 정치를 하겠다고 하지 않았나라며 논의 과정을 국민들이 보는 게 불쾌할 일이 아니고 오히려 좋은 일이라고 밝혔다. 전날 박 실장이 언론을 통해 대표회담을 생중계하자고 제안한 것을 두고 민주당이 불쾌하다고 하자 직접 반박하며 생중계를 재차 제안한 것이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이 대표의 과거 발언을 꺼내 공세를 폈다. 곽규택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지난해 6월 이 대표는 (비공개 만남을 제안한 김기현 당시 국민의힘 대표에게) ‘공개 정책 대화’를 요구하며 ‘국민들이 보지 않는 곳에서 비공개로 만나 노력하는 척하는 그림을 보여주겠다는 것에 동의하기 어렵다’고 했다면서 작년 이 대표와 올해 이 대표가 다른 사람인가라고 비판했다. 신지호 전략기획부총장은 채널A 유튜브에서 김기현은 만만해 보이니 공개하자 하고 한동훈은 부담스러우니까 피한다고 지적했다. 반면 민주당은 한 대표가 여당 대표로서 권한이 없어서라고 생중계 제안의 의도를 파고들었다. 전현희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의에서 여야 대표회담 성과를 낼 아무 권한도 없는 무력한 대표라는 것을 감추기 위해 대국민 보여주기식 쇼에만 집중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석 최고위원은 CBS 라디오에서 한 대표가 대표로서 자산이 없고 대선 후보로서 자산이 있기 때문에 TV토론에 나가면 이재명과 비슷해지지 않을까 기대를 한 것 아닌가 싶다고 했다. 여당 내에서도 생중계가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이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나왔다. 윤상현 의원은 MBC 라디오에서 대선 TV토론 1차전 하겠다는 것도 아니고라며 결론을 맺기 위해서는 양보할 것도 있고 솔직히 밖에 얘기 못할 것도 많다. 그게 협상이라고 말했다. 광복절은 1949년 5월 국무회의에서 8월15일을 ‘독립기념일’로 의결했고, 국회의 의결 과정을 거쳐 같은 해 10월 제정된 ‘국경일에 관한 법률’에 의해 ‘광복절’로 명칭이 변경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 사용하는 명칭인 독립기념일을 굳이 광복절로 수정한 이유가 무엇일까? 미국처럼 독립을 선언한 날이라면 1919년 3월1일이 그에 해당할 수 있고, 타자로부터의 독립 혹은 해방을 강조하기보다 당연히 우리 것이어야 하는 나라를 되찾았다는 의미인 광복이 더 적절하다고 합의했을 수도 있다. 광복(光復)에는 무단에 의한 강탈과 점유가 끝나고 암흑에서 광명으로 나왔다는 벅찬 감동이 담겨 있다. 그렇기에 파란만장한 현대사의 굴곡 속에도 광복절만큼은 이념과 정파를 넘어서 한뜻으로 기릴 수 있었다. 독립운동 선열들에게 감사를 표하고 일본의 역사적 행위에 대한 책임을 묻는 일이 옳지 않다고 여길 국민이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오늘 우리는 그런 일이 벌어지고 있는 현실을 목도하고 있다. 이것이 과연 대통령이 광복절 축사에서 반복해서 질타한 ‘사이비 지식인과 검은 선동 세력’이 국민을 편 가르기 한 탓일까?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대한제국의 법통을 이어서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정했다. 참으로 미미하고 답답하긴 했지만 대한제국은 국가로서 국제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그 주권을 무력으로 빼앗은 일본제국의 늑약은 무효이므로 그 뒤를 잇는 정부를 수립한 것이다. 2005년 해외에서 타계한 독립운동가들에게 국적을 찾아주자는 국적법 개정안이 반려된 것도, 바로 임시정부의 정통성을 오늘의 대한민국이 이어받았으므로 굳이 그럴 필요 없다는 이유에서였다. 그런데 이를 인정하지 않는 사람을 독립기념관장으로 한사코 임명함으로써 광복절 행사마저 반쪽이 되어 버렸다. 대통령의 광복절 축사에서 헌법에 명시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상해 임시정부’라고 격하하여 표현한 것을 단순한 실수라고 보기 어려운 이유다. 더구나 암흑을 만든 일본의 책임에는 한마디 언급도 없고 광명을 위해 몸 바친 독립운동가를 기리는 말이라고는 의례적인 서두 외에 찾아보기 어려운 광복절 축사에서, 도대체 어떤 광복의 의미를 찾을 수 있을까? 바뀌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아름다운 사람 ‘역정’이라는 말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