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센터 |
|
|
|
 |
|
 |
|
|
|
|
HOME > 고객센터 > 공지사항 |
 |
공지사항 |
|
|
늙어가는 대기업…50대 이상 직원 수, 30대 미만보다 많아
|
|
글쓴이 :
행복이
 조회 : 337
|
주요 대기업 임직원 가운데 20대 비율은 감소하고 50대 이상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신규 공채를 줄이면서 20대 직원 수 자체가 줄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20일 팔로워 구매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2021∼2023년 3년 연속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제출한 매출 500대 기업을 조사한 결과 이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조사 대상 기업의 전체 임직원은 2021년 137만9406명에서 2023년 141만7401명으로 3만7995명 늘었다. 이 기간 30세 미만 임직원은 32만2575명(23.4%)에서 30만6731명(21.6%)으로 1만5844명(4.9%) 줄었다. 반면 50세 이상은 30세 미만 직원 수를 앞질렀다. 2021년 28만4061명(20.8%)이었던 50대가 지난해 31만1484명(22.0%)으로 2만7424명(9.7%) 늘어나면서다. 또 허리 역할을 하는 30∼50세 임직원도 2021년 76만4423명(55.4%)에서 4.3% 증가한 79만7040명(56.2%)을 기록했다. IT·전기전자 업종 등 20대 비중이 30∼40%대로 큰 편이었던 업종에서 20대 직원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IT·전기전자 업종에서는 20대 비중이 2021년 34.2%에서 2023년 28.9%로 줄었는데 같은 기간 50대 이상 비중은 16.6%에서 19.8%로 늘었다. 제약 업도 20대가 41.0%에서 36.5%로 줄어든 대신 50대 이상은 4.9%에서 5.3%로 소폭 증가했다. 이차전지도 20대가 40.0%에서 34.2%로 줄고 50대 이상이 6.0%에서 7.0%로 늘었다. 또 기존에 50대 이상 비중이 20% 이상이었던 대다수 업종에서도 50대 이상 직원이 더욱 많아졌다. 대표적으로 식음료(24.6%→28.8%), 조선·기계·설비(25.6%→27.3%), 건설·건자재(23.6%→26.2%), 운송(22.3%→24.1%), 금융(22.1%→24.0%) 등이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리더스인덱스는 저출생·고령화 영향으로 인구 구조가 변하는 가운데 기업 채용 방식이 대규모 공채에서 경력 위주로 바뀌고 신사업 진출도 둔화하며 채용 형태도 달라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
|
|
|
|
|